[Python, 백준/1260번] DFS와 BFS
·
코테/백준
☑️ [Python, 백준/1260번] DFS와 BFS1️⃣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260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2️⃣ 접근인접 행렬 혹은 인접 리스트를 만들어서 간단하게 풀 수 있는 문제다. 입력 값이 [노드A, 노드B]를 쌍(Pair)으로 묶어서 준다. 요 Data만 가공해서 인접 행렬이나 인접 리스트로 만들면 되는데.. 이전에 풀었던 문제와 같이 find_index 함수를 만들어서 풀어보려고 했다. 비효율적이긴 하겠지만 재밌으..
[CSAPP] Chapter 1. 컴퓨터 시스템으로의 여행
·
독서/CSAPP
🔖 1.1 정보는 비트와 컨텍스트로 이루어진다.// Hello.c#include int main(void){ printf("Hello, World!"); return 0;} 위와 같은 내용을 가진 'Hello.c' 파일이 있다. 이때, 'Hello.c' 파일은 텍스트 파일이다. 텍스트 파일은 내부적으로 0과 1인 Binary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가 읽을 수 있는 문자의 형태로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인코딩(Encoding)을 한다. 인코딩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Binary 데이터를 친숙한 문자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텍스트 파일의 개념과는 반대로 컴퓨터나 다른 Player 성격(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이 확장자를 읽어 들이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이 읽기 쉽게 변경..
[Python, 백준/1991번] 트리 순회
·
코테/백준
☑️ [Python, 백준/1991번] 트리 순회1️⃣ 문제이진 트리를 입력받아 전위 순회(preorder traversal), 중위 순회(inorder traversal), 후위 순회(postorder traversal)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예를 들어 위와 같은 이진 트리가 입력되면, 전위 순회한 결과 : ABDCEFG // (루트)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중위 순회한 결과 : DBAECFG // (왼쪽 자식) (루트) (오른쪽 자식) 후위 순회한 결과 : DBEGFCA // (왼쪽 자식) (오른쪽 자식) (루트) 가 된다. 2️⃣ 접근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았다. 단순하게 Preorder, Inorder, Postorder 순서를 구하면 된다. 다만, 예제 데이터에서 트리 구..
[TIL/크래프톤 정글] Day 17
·
활동/크래프톤 정글
🖐️ [크래프톤 정글] TIL - 240918지금은 백준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것 보다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학습을 하고 있었다. 간만에 백준에 들어가서 저번 주에 풀었던 알고리즘 문제들을 봤었는데, 왜 이렇게 풀었는지 기억에 남는게 조금 있었다. 그리고 새로운 주차의 문제들을 봤는데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서 전보다는 이해가 수월하게 되는 것 같아서 뿌듯했다. 그리고 남은 CSAPP는 노트에 필기하면서 학습을 하고 있는데 진행 속도는 느리지만 확실히 머리 속에 남는 것 같아서.. 아마 다 필기하면서 공부할 것 같다.☑️ CSAPP 1 챕터https://taeyeokim.tistory.com/181☑️ [백준/1991번] 트리 순회https://taeyeokim.tistory.com/180
[TIL/크래프톤 정글] Day 16
·
활동/크래프톤 정글
🖐️ [크래프톤 정글] TIL - 240917어제는 잠시 본가에 다녀왔기 때문에 출근 시간이 무척 늦었었다. 그래서 전 일에 학습한 DFS와 BFS를 복습하고 CSAPP 책을 읽는 쪽으로 공부 방향을 잡았다. 참고로 TIL이 지금은 굉장히 부실하지만....!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별도의 포스팅으로 올릴 예정이다. TIL은 거의 일기와 배운 목록만 작성하는 글로 갈 듯!☑️ CSAPP ~ 1.5 챕터
[TIL/크래프톤 정글] Day 15
·
활동/크래프톤 정글
🖐️[크래프톤 정글] TIL - 240916오늘은 DFS와 BFS에 대해서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DFS와 BFS는 1주차에도 나왔고 나도 이 중에서 DFS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기는 했었으나, 완전히 개념을 이해하고 작성한 것이 아니라, 어렴풋이 알고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풀었던거라 한 번 학습의 필요를 느끼곤 있었다. 심지어 BFS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기반이 되는 알고리즘이고 다익스트라는 A* 알고리즘의 기본이 되는 알고리즘이라서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DFS와 BFS에 대한 내용을 참고한 서적은 Introduction to Algorithms다. 인터넷을 참고 하는 것 보다 권위있는 서적이 좋을 것 같아서 해당 책을 기준으로 이해하고 학습했다.☑️ BFS(Breadth First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