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백준/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
코테/백준
☑️ [C++,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1️⃣ 문제2️⃣ 접근크래프톤 정글에서 제공한 문제를 다시 풀고 있다. 블로그에도 Python으로 풀이한 내용을 올린 적이 있는데, 접근 방법이 다르지 않다. [Python, 백준/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Python, 백준/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1️⃣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1724방향 없는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연결 요소 (Connected Component)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접taeyeokim.tistory.com 그동안 프로그래밍에 소홀해서 그런가 의사 코드를 작성하는 것보다 C++로 풀이하는 것이 어려웠다... 다시 열심히 해보자! 3️⃣ 코드#include..
[Python, 2156번] 포도주 시식
·
코테/백준
☑️ [Python, 백준/2252번] 줄 세우기1️⃣ 문제2️⃣ 접근문제를 풀다가 알고리즘을 꾸준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렵지 않게 점화식을 생각할 수 있는 문제였는데, 도저히 생각이 나지 않아서 다른 블로그의 풀이를 참고해서 풀었다. 지금 다시 생각해보면 아쉬운 점은 노트에 필기할 때,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 지 잡았었는데 실제 코드로 옮기지 못한 부분이 아쉽게 다가온다. 풀이는 아래 블로그 참고 [백준/파이썬] 2156 포도주 시식https://www.acmicpc.net/problem/2156다이나믹프로그래밍백준 2579 계단오르기 문제와 상당히 유사하다.차이점은 계단오르기는 마지막 계단을 꼭 밟고 끝나지만, 이 문제는 마지막 잔을 마시지 않을 수도velog.io 3️⃣ 코드import sy..
[Python, 2252번] 줄 세우기
·
코테/백준
☑️ [Python, 백준/2252번] 줄 세우기1️⃣ 문제2️⃣ 접근위상정렬.. Topology Sort... 이 개념을 공부하고 있다가 이해가 가지 않았다. 위상정렬이 DAG에서 선형적으로 보일 수 있게끔 정렬하는 알고리즘인 것은 알겠는데.. 왜 이런 알고리즘이 있어야 하나? 싶은 생각이 있어서 문제를 풀면서 어떤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기로 했다. 그렇기 때문에 줄 세우기 문제도 위상정렬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했다. 위상 정렬은 단순하게 탐색이 되었을 때, Indegree를 1씩 제거하면서 Indegree가 0인 것 부터 탐색을 돌아주면 된다. 지금 코드에서 안좋은 포인트는 indegree가 0인지 식별하는 코드가 2번 사용되는 것이다. 중복되는 문제가 ..
[Python, 10844번] 쉬운 계단 수
·
코테/백준
☑️ [Python, 백준/10844번] 쉬운 계단 수1️⃣ 문제2️⃣ 접근 문제에 나오는 계단 수는 '1, 2, 1'과 같이 +-1로 이루어진 수가 연속되는 수를 의미한다. 입력 값으로 N이 주어지면, N만큼의 길이를 가진 계단 수를 일정 수로 나누고 나머지를 출력하는 문제다. 해당 문제는 처음부터 DP로 접근했다. 그래서 문제에 있어서 정석적인 접근은 아닐 것 같다. 일단 DP 문제인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점화식을 찾기 위해서 집중했다. 예제 1과 예제 2를 보면서 직접 DP 테이블을 그리면서 어떻게 패턴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했다. N이 1일 때, 0은 스스로 나타날 수 없으므로, 출력 값은 9를 가진다. -> ( 1, 2, 3, 4, 5, 6, 7, 8, 9 )그러면 테이블에 조건을 다음과 같..
[Python, 백준/21606번] 아침 산책
·
코테/백준
☑️ [Python, 백준/21606번] 아침 산책1️⃣ 문제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1606 2️⃣ 접근다른 정글 동료들에 비해서 이 문제를 늦게 접하게 된 편이었다. 문제의 난이도를 전해 들었어서 개인적으로 기대하고 있던 문제였는데, 조금 이전의 기억이라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5시간 정도를 투자해서 풀 수 있던 것 같다. 코치님들이 항상 어려운 문제는 30분을 고민하고 해답을 보고 다시 풀어보라고 말씀하셨었는데, 풀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계속 붙잡고 있었다. 이 문제는 다른 블로그 포스팅과 AI를 보지 않고 풀어냈다는 점에서 기분이 좋았다.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접근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
[Python, 백준/11725번] 트리의 부모 찾기
·
코테/백준
☑️ [Python, 백준/11725번] 트리의 부모 찾기1️⃣ 문제루트 없는 트리가 주어진다. 이때, 트리의 루트를 1이라고 정했을 때, 각 노드의 부모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2️⃣ 접근이 문제도 DFS, BFS 중에서 하나라도 개념을 알고 있다면 큰 어려움 없이 풀 수 있는 문제다. 트리의 부모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1. 부모 Node의 Depth는 항상 탐색 Node Depth - 1을 가져야 한다.2. 서로 인접한 관계에 있어야 한다. 간단하게 말해서 탐색하려는 Node의 상위에 있는 Node가 부모 Node가 된다.  각 Node를 순회하면서 인접 관계에 있는 자식들을 찾고 배열에 넣어줌으로서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참고로 초반에는 dfs 함수와 dfs_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