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수학] 4장. 삼각함수 : 회전을 위한 수학
·
독서/이득우의 게임 수학
☑️ 4장. 삼각함수 : 회전을 위한 수학회전은 원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하는 움직임이기 때문에,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삼각 함수를 알아야 한다. 삼각함수부터 회전까지를 소개한다. ☑️ 4.1. 삼각함수한 각이 직각(90도)인 삼각형을 직각삼각형이라고 한다.한 각이 직각이므로, 두 각의 합이 90도가 된다.삼각비(Trigonometric Ratio) : 직각삼각형의 세 변 중 두 변의 비례 관계를 나타내는 것6가지의 비례 관계 중에서 코사인, 사인, 탄젠트이 대표적이다.$ \sin(\theta) = \frac{\text{높이}}{\text{빗변}} $$ \cos(\theta) = \frac{\text{밑변}}{\text{빗변}} $$ \tan(\theta) = \frac{\text{높..
[게임 수학] 3장. 벡터 : 가상 공간의 탄생
·
독서/이득우의 게임 수학
☑️ 3장. 벡터 : 가상 공간의 탄생1차원 직선의 한계는 명확하다. 좁은 직선을 벗어나서 넓은 평면에서 시각적으로 의미 있는 물체를 생성하기 위한 개념들을 소개한다. ☑️ 3.1. 데카르트 좌표계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 : 직선의 수 집합을 수직으로 배치해 평면을 표기하는 방식.수평으로 배치한 첫 번째 실수 집합의 미지수를 x로 표기수직으로 배치한 두 번째 실수 집합의 미지수를 y로 표기평면의 영역은 총 4개의 분면으로 나뉘게 된다.데카르트 좌표계의 원소는 곱집합과 동일하게 순서쌍으로 표기한다.(x, y) : 좌표 ☑️ 3.2. 벡터 공간과 벡터▶️ 3.2.1. 스칼라와 벡터벡터 공간(Vector Space) : 공리적 집합론의 관점에서 두 개의 실수를 곱집합..
[게임 수학] 2장. 수 :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
독서/이득우의 게임 수학
☑️ 2장. 수 : 가상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모니터 화면에 나타나는 그래픽은 체계화된 수들이 만들어 내는 질서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상 세계로부터 게임 콘텐츠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고 싶다면 수학 개념을 알아야 한다. ☑️ 2.1. 수와 집합소박한 집합론 : 자연수, 정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복소수, 사원수 등 같은 원소로 묶인 집합을 의미한다.소박한 집합론은 일상 생활에서는 불편함 없이 사용 가능하지만, 컴퓨터 세상에서는 구성이 불가능하다.공리를 기반으로 수를 구분하는 집합론인 공리적 집합론(Axiomatic set theory)를 사용해야 한다. ▶️ 2.1.1. 연산과 수의 구조이항 연산(Binary Operation) : 두 원소를 통해서 새로운 원소를 만들어내는 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