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임수학] #5. 함수
·
공부/수학
출처 : 이득우의 게임 수학(저자 이득우)함수두 집합 A와 B가 있으면, A의 모든 원소가 B의 어떤 원소와 대응되는 관계를 함수라고 한다. 두 집합의 요소가 대응되면 무조건 함수로 인정받는 것은 아니고 아래의 두 조건을 성립해야 한다.집합 A의 모든 원소에 대한 대응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집합 A의 원소는 두 번째 집합의 한 원소에만 대응되어야 한다.함수에서 두 집합 A와 B에 대해서 값을 전달하는 집합 A는 정의역으로, 값을 나타내는 집합 B는 공역이라고 말한다. 위의 조건을 단어를 변경하여 정의역의 모든 원소는 공역의 원소와 대응되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참고로 공역의 모든 원소는 정의역에 대응할 필요는 없다. 이때, 정의역에 대응되는 공역의 원소를 부분집합을 형성해 치역이라 부른다. 전사함수S..